안녕하세요. 부자아빠 금융지능 개발 프로젝트 RichDad 인사드립니다.
이번 글은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시작된 팬데믹쇼크와 이에대한 대응책으로 Fed의 양적완화 정책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겠습니다. 제 다른 게시글에도 보면 무제한 양적완화 관련해서 올려놨는데요. 사실 현재 Fed의 정책은 양적완화가 아니라고 합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한 번 풀어볼게요.
미국 연준의 과거 통화정책
우선 미국 연준의 역사를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과거 연준은 통화 정책으로 통화량을 조절하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지금처럼 금리을 조절하는 게 아니였죠. 당시에는 금리가 중요하지 않았어요. 연준이 통화량을 조절하니깐 은행에서 돈을 대출 받을 수 있냐 없냐가 문제였죠.
즉, 금리중심의 재할인창구의 의미가 없었습니다. 예금 들어 온 것도 지금보다 더 엄격하게 지급준비금을 중앙은행 Fed에(당시에는 Frb 였다고 합니다.) 쌓아놔야했어요. 이는 시중은행에 대한 강한 압박으로 와닿았죠. 왜 대출 받기가 어려웠을지 예측이 가시죠?? 시중은행이 지급준비금 제대로 준비도 안하고 대출을 마음대로 할 수 없었던거에요. 은행의 수익창출은 예대마진인데, 이 수익창출하기가 많이 어려웠던거죠. 그래서 당시 은행은 점점 어려워졌고, 반대수혜를 비은행 금융기관인 증권사가 받게 됐습니다. 골드만삭스 같은 기관들이 엄청 성장할 수 있었죠.
이로 인해서 은행이 망한다는 비관론이 팽배해지고, 현재 통화량을 관리하는 통화정책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등장했습니다.
통화량
미국 연준 금리정책
이 때! Fed에 그리스펀이라는 인물이 등장합니다. 통화량 관리는 실패했다고 주장하며 금리 중심의 통화정책을 시행하겠다고 선포합니다. 금리 조절까지만 시장에 개입하고 나머지는 시장에 맡긴거죠. 더 시장친화적인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즉, 기준금리를 올리면, 은행은 자연스럽게 대출이 줄어들어서, 시중 통화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던거죠.
이런 시스템이 작동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자본시장이 발달했기 때문입니다. 자본이라 함은 부동산, 주식, 채권과 같은 증식 가능한 자산입니다. 시중에 자연스럽게 돈이 많이 도니깐, 금리로 제어하고 조절할 수 있었던 거죠. 여기서 한가지 문제는 그럼 만약 제로금리가 된다면.... 더 이상 연준이 사용할 수 있는 통화정책이 없어진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곧 현실로 다가왔죠.
2008년 금융위기 & 벤 버냉키
당시 금리를 인하해도 정책이 안 통하자 버냉키는 과거 통화량 조절을 직접 조절했던 정책을 떠올립니다. 그리고 현대 방식으로 재현하기에 이릅니다. 그게 바로! 양적완화인거죠.
모기지 채권과, 단기 국채 매입을 통해 시중금리를 인하합니다. 시중에 돈도 풀고 금리도 내리고, 일석이조네요. 펜데믹쇼크 이상의 글로벌 경제위기를 불러온 2008년 당시 연준은 모기지 채권을(MBS) 매입하면서 시장은 안정을 되찾습니다. 하지만 양적완화는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2011년, 2016년 등 유럽재정위기, 브랙시트 같은 경제 관련 이슈가 발생할 때마다 연준의 양적완화는 끊임없이 이뤄졌습니다.
채권 투자
양적완화의 부작용
지속적으로 양적완화 정책을 통해 돈을 시중에 풀고, 금리가 낮아지면서 자산 가격은 폭등하기 시작합니다. 자산 가격이라 함은 부동산 가격 / 채권 가격 / 주식 가격 등. 통화량 관리를 직접적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풀어진 돈은 자기가 원하는 곳으로 가기 쉬웠습니다. 하지만 자세히 생각해보면, 당시 연준의 양적완화는 기업과 산업 투자로 돈이 흘러가기 원했죠. 주식은 배당주 열풍이 불었습니다.
우리나라도 비슷한 절차를 거쳐왔습니다. 99년 한국은행법을 대폭 개정하면서 돈이 마구 풀어지니깐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기 시작했습니다.
구리, 철, 원유 등 원자재에도 돈이 몰리기 시작하면서 가격이 폭등했는데, 실질적으로 원자재를 사용하는 산업, 기업에 투자가 안되다 보니깐 결국 원자재 값은 폭락하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결국 디플레이션 현상까지 나타났죠.
코로나발 팬데믹쇼크 결과
코로나 바이러스와 유가전쟁으로 시작된 경제 위기는 현재 기준(2020.04.10) 어느 정도 잡힌 상황처럼 보입니다. 미국 정부의 2조달러 지원, Fed의 무제한 양적완화, CP(회사채) 매입, 통화스와프 등 엄청난 돈풀기를 통해 쿠션 역할을 제대로 해주고 있는거죠.
그런데!! 이거이거 모양새를 자세히 살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정부의 역할이 엄청 강해진 게 느껴지나요?? 이번 돈 풀기는 과거 양적완화와 같이 자산 시장으로 흘러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의 거대화
현재 연준 Fed는 국채는 유통시장에서 매입하지만, MBS 모기지 채권, CP 회사채 등 각종 매입을 발행시장에서 매입하고 있습니다. 이 말은 연준이 긴 기간 동안 양적완화로 통화를 지속적으로 받쳐주는 게 아니라 대출과 같은 형식으로 지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Loan, Landing 형식이 대다수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런 돈은 모두 정부를 거쳐서 꼬리표가 달린 돈으로 빠져나갑니다. 실업지원 자금도 오로지 실업자들을 위해서만 쓸 수 있습니다. 기업에 대출 해줘도 그 돈으로 기업이 의사활동을 선택할 수 없습니다. 정해진대로 쓸 수 밖에 없습니다. 이는 곧, 정부의 막강한 힘을 키워주게 됩니다.
정부가 인프라 투자한다면 인프라 산업에 돈이 흘러가고, 메디컬 케어 하자고 하면, 그 쪽으로 돈이 흘러갑니다. 과거 돈이 풀어졌을 때, 마구잡이로 자산으로 흘러가는 때와는 다른 모습이 펼쳐질 것입니다. 미국연준 Fed는 결국 돈 대주는 기관으로 그 위상이 많이 떨어지게 될 것입니다.
코로나발 팬데믹쇼크로 인한 경제 위기. 이에 대응한 미국 중앙은행의 행보, 트럼프 정부의 정책. 이 모든 것을 통해 앞으로 10년을 새로운 금융판을 만들 것을 예상해 봅니다.
2020/04/07 - [금융지능 개발 프로젝트/시장_Market] - 미국판 무제한 양적완화 알아보기
이미지 출처 : Freepick
'금융지능 개발 프로젝트 > 시장_Mark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트 코로나 IMF 보고서로 대응하자 - 더블딥 , 디플레이션 우려 (0) | 2020.04.18 |
---|---|
금통위원 의견을 통해 향후 시장 방향 예측 (0) | 2020.04.16 |
트럼프 코로나 예측 발언과 벤 버냉키의 발언 (0) | 2020.04.15 |
실시간 영향 미치는 미국 선물지수와 앞으로 국내 증시 전망은? (0) | 2020.04.14 |
미국판 무제한 양적완화 알아보기 (0) | 2020.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