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은행
안녕하세요. 부자아빠의 금융지능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Rich Dad' 인사드립니다.
이번 글은 조금 어려울수도 있지만, 현재 시장 흐름을 파악하고, 투자하는 데 유용한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국채와 회사채 관련된 이야기를 정리해봤습니다. 유동성 공급과 금리 인하 측면을 통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금통위원 금리 동결
한국은행은 최근 금통위(금융통화위원회 약칭)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하는 의견을 발표했습니다. 더불어서 한은법 80조 내용을 바탕으로 비은행 기관 즉, 증권사에 대해서도 대출을 실행하는 방안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금통위원들은 이를 통해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습니다.
유동성 공급
증권사 구제
한국은행 금통위원은 증권사의 우량 회사채를 담보로 대출을 허용한다면, 단기적으로 유동성 위기에 있는 증권사의 숨통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합니다. 기존 중앙은행은 1금융권 은행과 거래합니다. 그래서 비 은행 기관인 증권사와 거래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과정이 필요했습니다.
그럼, 증권사는 왜 유동성 지원이 필요한걸까요?? 최근 증권사는 PF(Property Financial, 부동산 금융) 시장과 ETN 시장에서 단기 자금 유동성이 악화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단기적으로 변동성 폭이 커지면서 마진콜이 들어와 이를 충족하기 위해 단기 자금을 마련해야했습니다.
담보 대출
또한, 작년 IB 시장에서 ABCP(자산 담보 어음) = 부동산 대출 채권을 다시 증권화해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으로 이 어음을 통해 유동성을 공급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급격한 하락폭으로 인해 자금이 더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며, 증권사 운용에 어려움을 겪게 됐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은행이 증권사 대출을 허용한다면, 현재 당면한 위기를 단기적으로 잘 이겨낼 수 있을것으로 예상합니다.
위기 극복
시장의 방향
한국은행 금통위원은 금년 대한민국 성장률을 0%대 성장을 예측하고 있습니다. 물론 상황이 계속 악와된다면, 마이너스 성장도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경기의 V자 회복 반등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2분기 바닥 확인 후 U자 회복하거나 , 회복이 없는 L자 모양의 실물 경기 흐름을 보여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경기침체
한은의 대응
이로 인해, 회사채 담보 대출과 ,추후 금리 인하까지 검토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2분기 경제 지표와 상황을 봐야 알겠지만, 코로나 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이어진다면, 증시의 추가 하락은 불가피 하며, 이론 인해 자산 하락은 필연적으로 나타날 것입니다.
각 국의 중앙은행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고, 한은 금통위원도 이에 맞춰 대응하고 있지만 이런 노력 중에도, 실문 경제가 회복하지 않는다면, 최근 급등한 만큼 빠른 속도록 급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W자 파동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럼, 단기간 수익을 위해 인버스를 사야할까요?? ㅎㅎ)
무튼 한은의 발빠른 대응 기대하고 있습니다.
위기대응
'금융지능 개발 프로젝트 > 시장_Mark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가온 언택트 시대, 언택트 산업의 모습을 그리다. (0) | 2020.04.23 |
---|---|
포스트 코로나 IMF 보고서로 대응하자 - 더블딥 , 디플레이션 우려 (0) | 2020.04.18 |
트럼프 코로나 예측 발언과 벤 버냉키의 발언 (0) | 2020.04.15 |
실시간 영향 미치는 미국 선물지수와 앞으로 국내 증시 전망은? (0) | 2020.04.14 |
팬데믹쇼크로 시작해서 미국 연준 Fed의 양적완화로 끝나나? (0) | 2020.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