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콘텐츠, 플랫폼, 연결에 대해서 말해보려 합니다.

참고한 책은 『콘텐츠의 미래』라는 책입니다.


현직 마케터로서 사업을 꿈꾸고 있는데요. 사업을 이루기 위해서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일구는 방법이 무엇일까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럼, 콘텐츠와 사업 구상의 콜라보레이션 함께 생각해보겠습니다.


콘텐츠는 우리의 미래일까?


현재 우리는 정말 다양한, 무수한 콘텐츠 홍수 속에 살아가고 있습니다.

산업, 비즈니스도 콘텐츠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데요.

특별히 홍보, 광고, 마케팅의 전략과 방법이 매우 큰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콘텐츠가 다양해짐에 따라 그만큼 다양한 방식과 전략으로 고객과 소통하고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그럼, 성공적인 비즈니스, 성공적인 사업을 이루기 위해서는 콘텐츠를 잘 만들어야겠네요??


여기서 생각이 멈추면, 콘텐츠의 역할, 기능, 그 가치를 100% 이해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 콘텐츠는 어떤 역할이냐. 바로, 도구입니다. 비즈니스 공급자와 수요자를 연결시켜주는 하나의 도구일뿐입니다.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란 의미죠.

그럼 수단으로서 콘텐츠를 어떻게 이용할지 고민해봐야겠죠? 그런데 저도 그렇고콘텐츠에 집중하다 보면, 여기에 매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령, 내 제품 혹은 서비스가 잘 안 팔리는 건 홍보 콘텐츠가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더 창의적이고 더 신선하고, 자극적인 콘텐츠로 고객을 유혹해야 한다는 판단을 내릴수도 있죠.

이와 같은 사고와 접근이 콘텐츠 함정으로 빠지게 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우리는 비록, B급의 콘텐츠라도 이 콘텐츠를 어떻게 하면 고객과 연결, 고객간 연결로 사용할 수 있을까. 끊임없이 고민해야합니다.



내 사업에 콘텐츠를 어떻게 활용하지?


앞에서 콘텐츠를 도구라고 표현했는데요. 그럼 이 콘텐츠를 어떻게 활용해야 효율적인 연결을 달성할 수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사례를 살펴볼게요. 위키피디아라는 백과사전 플랫폼 다들 아시죠?

저도 간간히 모르는 게 있을 때, 위키피디아를 이용할 때가 있는데요. 여기는 콘텐츠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요?

참여자 즉, 위키피디아 용어로 기여자라는 특정 개인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해줍니다. 물론 제한된 자율성이긴 한데요.

팩트 체크가 된 근거 기반의 지식을 서로 공유하고, 수정할 수 있는 작업을 통해 양질의 콘텐츠를 참여자 스스로 제작하게끔 합니다.

위키피디아는 고객간, 참여자간 연결을 효율적으로 이어주는 역할만 담당함으로써 양질의 콘텐츠를 끊임없이 제작합니다. 참여형 콘텐츠죠.



그럼 사업에서 콘텐츠가 연결을 확장하는 단계를 생각해보겠습니다.


1단계 고객과 만남 & 소통 : 내 제품 or 서비스와 관련된 콘텐츠를 접하고, 피드백을 통해 소통합니다.

2단계 고객간 전파 : 고객이 추천 or 소개를 통해 콘텐츠가 제 3자와 연결됩니다.

3단계 고객 참여 : 다양한 고객과 연결되면서 새로운 콘텐츠를 제작합니다.


보편적인 케이스를 가정해서 위와 같이 3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핵심은 연결입니다. 어떻게 연결할지 창의력이 필요합니다.


창의적인 연결의 실제 사례


뉴욕타임스부터 살펴보겠습니다. 기존 신문은 종이 신문이 대세였습니다.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온라인 뉴스, 기사가 떠올랐습니다. 이 때, 뉴욕타임스는 온라인 구독과 종이 신문 구독을 연결시켰습니다.

가격정책을 통해서 연결했는데, 종이 신문을 구독하는 구독자에게 무료로 온라인 뉴스를 개방했습니다.

온라인 신문도 가격을 상이하게 구분하며 고객이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해서 볼 수 있도록 선택권을 열어줬습니다.

종이 신문과 온라인 신문을 서로 대체재로 생각하면 이런 가격정책이 나올 수 없습니다. 둘을 경쟁구도로 본 게 아니라, 보완재 성격으로 보는 게 핵심 포인트입니다.


마지막 사례로 음반사업을 보겠습니다.

음악의 불법 다운로드는 음반 산업을 무너뜨렸을까요? 아님 더 발전시켰을까요?

후자입니다. 음악의 대중화 음악의 보편화는 오히려, 개개인 가수의 콘서트 수입을 증가시켰고, 하나의 노래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이와 같이, 연결을 어떻게 이해 하냐에 따라 산업의 확장성을 캐치해서 선두 주자로 자리 잡을 수 있고, 혹은 대항하다가 에너지를 소모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만들 사업도 어떤 연결을 창출해서 고객과 소통할지 끊임없이 고민해야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God Bless You.


Remember the LORD your God. He is the one who gives you power to be successful, in order to fulfill the covenant he confirmed to your ancestors with an oath.

Deuteronomy 8 : 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