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포스트 코로나, 즉 코로나 바이러스가 잡힌 이후 우리의 경제 활동이나, 삶의 모습이 크게 달라질텐데, 이 때 시장은 어떤 모습을 보일지, 어떤 산업과 기업이 주도주로서 영향력을 발휘할 지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을 통해 앞으로 우리 산업 경제 모습을 예측해보고, 투자의 방향도 생각해볼게요.


Q1 . 코로나 이후 경제, 산업은 ??

언택트는 지난 글에서도 설명 드려서, 다른 부분을 말씀드릴게요.

일단 '디플레이션' 요새 경제 관련 이야기를 듣다보면, 디플레이션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물가가 하락한다는건데... 표면적으로 생각하면 좋은거 아니야?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우리 경제 활동과 수준에 어마어마한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부정적으로요...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이 디플레이션의 결과라고 하는데요. 깊은 내용은 글 전체에서 한 번 다루겠습니다.


그럼 지금..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은 시중에 돈을 엄청나게 푸는데... 그럼 현금 가치가 떨어지니깐 물가가 올라가야 하는거아니야?? 라고 또 간단하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어마어마한 양 중에 상당수가 일반인에 들어가는 게 아니라 기업 등 다른 여러 경제 주체로 흘러들어가고 있습니다.

시중에 푼 자금이 모두 소비로 이어진다면 당연히 인플레이션이 오겠지만... 지금 경기가 안 좋은 상황에서 자금이 많이 풀리는데, 이게 소비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디플레이션의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일반인들이 느낄 수 있는 물가 하락은 이미 충분히 경험하고 있는 독점적 기업들의 경쟁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보면 단연코 미국의 FAANG이 압도적인 우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FAANG 이라 함은... Facebook / Amazon / Apple / Netflix / Google 미국 상위 기업이자, 전세계 독점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기업을 의미합니다.

이 중 아마존의 원칙은 세상에서 제일 싸게 팔자. 더 좋은 서비스를 최대한 원가절감 해서 판매가를 떨어뜨리는 것이 최대 목표입니다.

그러니... 치열한 경쟁속에서 물가는 떨어질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Q2. 그럼 앞으로 투자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FAANG에 집중해야 할까요?? 

아무래도 이들 기업은 이제 더이상 기술주가 아닙니다. 한 기업당 각각 플랫폼이라는 형태로, 하나의 세계를 만들고 있습니다.


Facebook - 네트워크의 시계 / Amazon - 배송의 세계 / Apple - 스마트폰, 어플 세계 / Netflix - 스트리밍의 세계 / Google - 정보(검색)의 세계

공통점은 각자 자시만의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과 이들의 비즈니스 모델을 통한 마진율은 40-50% 된다는 사실입니다.

이제 워런 버핏의 가치투자도. 자산가치주보다는 성장주 위주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또한, 금 현물 or 금 ETF도 충분합니다. 금이라는 안전 자산에 대한 비중도 높아질 예정입니다.

처음 질문에 답을 드리자면, 집중해도 좋다. 하지만 안전자산도 투자 비중을 늘리자는 누구나 다 할 수 있는 조언을 드립니다 .ㅎㅎ



우리나라 증시, 경제, 시장은?

우리나라도 FAANG의 영향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지만, 틈새종목, 분야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웹툰이란 시장도, 우리나라만 있는 장르로서 콘텐츠의 확장 플랫폼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상상력을 동원할 수 있겠죠?



지금까지 말씀드린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자면,

1.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플레이션의 위험

2. FAANG의 지배

3. 우리나라 틈새 시장 (ex. 웹툰)

이렇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투자 방향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지금까지,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God Bless you


This means that anyone who belongs to Christ has become a new person. The old life is gone; a new life has begun!

2 Corinthians 5:17


이미지 출처 : freepick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