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부자아빠의 금융지능 개발 프로젝트 [Rich Dad] 인사드립니다.
부자아빠가 되기 위해서는 자산을 쌓아가야겠죠~ 그 자산이란, 내 노동력이나 시간을 번외로 쏟지 않아도 현금흐름이 생기는 대상을 의미합니다. 여러가지 있는데 주식이 이 자산 중 하나라고 생각했고, 이 주식을 어떻게 보유해야하는 지 내용을 공부해야 합니다.
그 첫 번째로 주식의 회사를 분별하고, 소유할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강의를 들어보고자 유튜브와 여러 글을 찾았는데, 유명한 회계사님이 나오시더라구요.
【사경인 회계사】
독보적인 재무제표 강사인 것 같습니다. 특별히 투자자 관점에서 바라본 재무제표 강의라서, 실용적인 부분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돈내고 듣기 전에 유튜브에 맛보기 느낌으로 강의한 내용들이 있어서 우선 삼 프로TV에서 처음 강의했는 내용을 중심으로 요약 공유해보겠습니다.
나는 어떤 주식 투자자가 될 것인가?
저는 처음 주식 시작을 트레이더로 시작했습니다. 지금 이 강의를 듣고서 제가 어떤 투자자였는지 구분하는 개념이 생긴거지, 처음부터 내가 트레이더다 생각하지는 않았지요. ㅎㅎ
주식 투자를 하는 사람들은 크게 2부류로 나뉩니다.
1. 투자자 : 자신의 자금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투자한 회사에서 이익이 나오면, 그 이익을 분배받으려는 목표를 가진 사람.
2. 트레이더 : 주식 시장에서 각 주식의 거래에 관심을 갖고, 거래되는 주식을 싼 값에 사서, 더 비싸게 사려는 사람들에게 팔아서, 수익을 추구하려는 사람.
두 부류의 구분점은 무엇일까요??
투자자는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고, 그 가치보다 주가가 쌀 때, 그 주식을 삽니다.
트레이더는 주식의 수요, 공급의 수급을 보면서 매매하는 데 집중합니다.
그래서 유명한 투자자들도 주장하는 말들이 극적으로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어요. 왜냐면, 그들이 투자자냐 트레이더냐에 따라서 주식투자의 방점을 다르게 보고 있기 때문이지요.
<대표 주장>
트레이더 대표 : 손절 원칙을 타이트하게 세우고, 칼 같이 그 원칙을 지켜야한다.
투자자 대표 : 주식은 떨어지기 전에 팔아야 한다. (떨어진 후 파는건 미련한 짓이다.)
그럼, 재무제표는 누가? 어떻게? 사용?
트레이더는 수급과 차트, 사람들이 몰릴 인기있는 재료와 같은 것에 집중하겠죠?? 이런 내용은 재무제표에 없기 때문에 가볍게 여기게 됩니다. 물론! 트레이더도, 관리종목이나 상폐를 피하기 위해서 재무제표를 볼 줄 알아야 합니다. 하지만, 안 보는 경우가 대다수라는 사실도 간단히 알고 넘어갑시다.
투자자는 이 주식이 싼지, 비싼지, 사도 될지 안될지 분별하기 위한 기준으로 기업의 가치를 삼고 있죠? 이 기업의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재무제표가 중요합니다. 물론 위대한 투자자 워렌 버핏과 같은 분은 재무제표 너머 그 기업의 사업을 살펴보고 사업(Business)을 산다고 하죠.
재무제표가 그 중 한 부분이기에 우리가 이 숫자들을 통해서 기업의 스토리를 파악할 줄 알아야합니다.
그럼 아주 기본적인 단어부터 살펴보겠습니다.
● PER (Price Earning Ratio) : 기업의 가치를 그 기업의 주식 가격과 이익을 대비해서 평가한 지표입니다.
→ 지금 이 회사의 이익이 영업 이익인지, 영업외 수익인지 분별해야 하고, 이익이 가격 대비해서 높다면, 싸다고 평가할 수 있겠죠.
● PBR (Price Book-value Ratio) : 기업의 가치를 자산가치로 평가한 지표입니다.
→ 자산이 얼마인지, 부채가 얼마인지, 순자산(자본)이 얼마인지 분석해서 가격대비 가치를 판단할 때 사용합니다.
● PCR (Price Cash-flow Ratio) : 기업의 가치를 현금흐름을 기준으로 평가한 지표입니다.
→ 기업이 진짜 돈을 벌고 있는지 확인하려면 현금흐름을 확인해야 한다는 판단 아래 사용하는 지표입니다.
● PSR (Price Sales Ratio) : 기업의 매출(Sales)을 기준으로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 바이오나, 연구 관련 기업의 가치를 판단할 때 주료 사용합니다.
위 개념들이 모두 기업의 재무제표를 통해 나옵니다. 또한 단순히 저 지표만 보고 기업의 가치를 판단할 수는 없고, 위 지표들을 기준 삼아 재무제표에서 봐야할 내용들이 있습니다. 단순한 항목과 숫자만 보이지만, 그 이면의 의미를 알면 기업이 어떻게 돈을 벌고, 어떤 재무 상황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재무제표의 목적
우리도 사경인 회계사님처럼 명확히 정의내립시다.
1. 싼 회사를 찾는 데 재무제표를 사용하자.
2. 재무제표는 나쁜 기업을 찾는 데 사용한다.
<싼 회사>
우리나라 대표 기업들 튼실하고, 정말 좋은 기업들 많습니다. 그런데 우리의 투자 목표는 무엇입니까?? 수익을 안겨주는 자산을 쌓는 것 아닐까요?? 그렇다면 어떤 기업을 찾아야 할까요?
우선 가치 대비 가격(시총)이 싼 기업을 찾아야 합니다. 이렇게 1차 걸러냈다면, 이 기업들 중에서 법정관리 들어가거나, 상장폐지 당할 위험이 있는 종목을 가려내야 합니다. 즉, 나쁜 기업을 걸러내는거죠
그럼 어떻게 싼 회사를 찾고, 나쁜 기업을 골라내는지 알려주세요~~!!
다음 글에 이어서 소개하겠습니다^^ (생각보다 글이 길어집니다. ㅎㅎ)
2020/04/22 - [금융지능 개발 프로젝트/회계_Accounting] - 삼 프로tv 사경인 회계사 강의 요약 정리 (2)
![엠지텍 골전도 블루투스 이어폰, EarFree G2, 혼합 색상](https://static.coupangcdn.com/image/affiliate/banner/60e7efecd50392ebfd8191df4a2af279@2x.jpg)
![엑토 서라운드 골전도 블루투스 이어폰, BTE-28](https://static.coupangcdn.com/image/affiliate/banner/2bce84110dde183b56330e86f233c9df@2x.jpg)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 Freepick
'금융지능 개발 프로젝트 > 주식 _Sto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 프로tv 사경인 회계사 강의 요약 정리 (2) (0) | 2020.04.22 |
---|---|
대북철도, 진단키트 관련주가 견인했지만 KODEXWTI 원유 선물 폭락은 막을 수 없었다. (0) | 2020.04.21 |
미국 경제대공황 회복, 렘데시비르 임상결과 유출로 관련주 요동 (0) | 2020.04.18 |
총선후 혼란스러운 증시 주가 상황 (0) | 2020.04.17 |
총선 관련 테마주보다 정당별 부동산 공약 확인하고 투자하자 (0) | 2020.04.13 |